커뮤니티

공지사항

[탁계석칼럼] 세계에 이토록 백성을 사랑한 왕이 있었을까?

이세훈

view : 288

어린이들 교과서 보다 공연으로 만나야 

 

물. 공기. 일상의 밥상을 대하듯 우리와 뗄 수 없는 한글. 그 창제의 흐름을 좇아가면서 내심 부끄러웠다. 우리가 ‘훈민정음’을 얼마나 알고 있을까? 세계의 어느 왕이 백성을 위해 눈병을 앓아가며 연구의 연구를 몰두한 사례가 또 있을까? 아니 왕권을 세자에 맡기면서까지 발화한 창조성의 근원이 무엇인가? 다름 아닌 애민(愛民) 이었다.

 

▲ K-Classic 제공   © musictak

 

필자는 그간의 칸타타 ‘조국의 혼’, ‘동방의 빛’, ‘코리아 판타지’를 하면서 우리 민족의 경로를 섭렵했다. 그러다 왜 세종대왕의 훈민정음 같은 위대한 작품성에 손대지 않을까에 의구심이 갔다. 물론 영화나 드라마에선 다루어졌다지만, 감동을 줄 수 있는 합창 양식에 담지 못한 것을 발견했다.

 

때마침 전해 오는 한류의 세종학당 한글학교 소식이나 한글이 제2외국어 세계 8위권에 올랐다는 기사들은 작업 중에 큰 힘이 되었다. 작품 제안을 수용해 준 윤의중 예술감독과 꼼꼼하게 공을 들인 작곡가에게 깊은 감사를 전한다.

 

UN 발표로 우리가 올해 선진국에 진입했다. 이제는 선진국을 선망하고 배우기만 하던 시대를 지났다. 당당하게 우리가 인류의 미래에 뉴 노멀(New Normal)을 제사해야 한다. 그 첫째가 소통이고 그래서 탁월한 문자의 효용성이 빛을 발하는 때가 온 것 같다. 앞으로는 영어를 대신해 세계의 학자들이 최고의 문자로 찬사를 보낸 한글로 소통하고, 더 넓은 지구촌에서 물처럼, 공기처럼 우리말이 사용될 것이라 확신한다.

 

합창 서사시 ‘훈민정음’은 백성을 사랑하셨던 ‘King Sejong’의 홍익인간의 높은 뜻이기도 하다. 우리가 어렸을 적엔 큰 바위 얼굴이라 하여 외국의 존경하는 인물을 표상으로 삼았지만 이제는 우리에게 이토록 큰 바위 얼굴이 있었음을 알려야 한다. 그 브랜드 가치와 활용성을 후손들이 높이는 것이 한류의 정점이 될 것이다.

 

바야흐로 훈민정음 반포 575년 전의 정치, 문화가 멀티버스, AI 과학정신으로 다시 르네상스 하는 시대가 도래(到來)했다. 세종대왕의 창조 정신이 부활하고, 진정으로 백성을 사랑하는 왕의 시대도 함께 왔으면 한다.

 

탁계석 예술비평가회장

먼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주세요.

창닫기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