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공지사항

[소설 최치원 ②] 제1권 성인과의 만남

이세훈

view : 1364

[편집자 주] 지난 2월 최치원 장편소설 5권이 발간되어 화제다. 소설 최치원은 30년 연구를 바탕으로 한 최진호 작가의 상상력과 뛰어난 문장력 등으로 그 시대 상황을 실제 상황처럼 생동감 있게 묘사함으로서 긴장감 속에 단숨에 읽혀지게 만들고 있다. 또한 책 곳곳에 방랑 식객 임지호 화백이 뿜어내는 최치원 정신을 형상화한 그림 삽입으로 묘미와 영감을 더해주고 있다. 최치원의 평화, 애민, 개혁사상은 현세에 더욱 빛을 발하고 있다. 이 책이 최치원 알리기의 등불이 되길 기대하면서, 본지는 6회에 걸쳐 책의 주요내용들을 소개한다.

 

고운 최치원 선생 후손이 펼쳐낸 전무후무 장편소설 

 

고운 최치원 선생의 후손인 최진호 작가가 30여 년 동안 국내·외에 산재한 최치원 관련 자료 및 흔적 등을 총체적으로 수집·분석·연구하여 (장편)소설 ‘최치원’ 전5권을 지난 2월 출간했다. 총 1,600여 쪽에 이르는 가히 기념비적인 역작으로서 전무후무한 ‘최치원 장편소설(실록)’이라 아니 할 수 없다.   

 

우선 이 책은 전래 또는 현전(現傳)하는 각종 사료들을 바탕으로 개혁적, 지성적인 목민관(정치인)으로서의 삶, 유·불·선에 더하여 풍류도까지 설파한 (종교)철학자 및 대문호로서의 각종 업적과, 더 나아가 따스하고 다정다감한 인간적인 면모까지 세련된 필치로 정갈하게 묘사함으로서 신비의 성에 갇혀 있던 그의 진면목을 새롭게 조명해 최치원 연구의 새로운 단초를 선사하고 있다.

 

이 소설이 우리들을 더욱 감동시키는 것은 견훤, 왕건, 궁예, 도선국사, 최승우, 최언위 등 신라 말에서 후삼국을 거쳐 고려개국까지의 급변상황을 인물중심으로 실감 있게 표현하였으며, 더하여 밀리엄 수녀와 아랍인 파루즈 왕자가 최치원과 같이 귀국하여 서라벌에 교회를 짓고 경교 전파 사실 등을 고증하였다는 점이다. 그 시대의 역사를 다시 보는 듯한 감동적인 상황이다. 이 소설이 널리 애독되어 위대한 선각자 최치원의 사상을 바르게 이해하고, 더 나아가 그 시대 격변의 역사를 회고·조응함으로서 역사 재인식의 계기가 되길 염원한다.

 

▲ 최치원 제1권 성인과의 만남


최치원 제1권 성인과의 만남

 

차례

 

추천의 글 / 작가의 글

최치원의 행적도 / 등장인물

 

번개 

쌍가락지 

동남풍을 타다 

황제의 도시 

신비한 산(종남산) 

고란초의 비밀 

국자감 

어사화를 꽂다 

십팔 세의 진사 

백거이白居易를 만나다 

신선들이 머무는 곳

 

책 속에서

 

최치원은 31세 때 지은 진감선사비문 첫머리에서 “도는 사람에게서 멀리 있지 않고, 사람은 출신국에 따라 차이가 없다(道不遠人,人無異國)”고 설파하였다. 이 여덟 글자야말로 최치원의 학문과 사상을 연구하는데 열쇠가 된다. ‘도’道와 ‘인’人, 이것은 최치원의 평생에 걸친 화두다. (6p)

 

최치원 선생은 자기 한 사람의 부귀공명을 염두에 두지 않았습니다. 중앙정부의 현직顯職을 사양하고 지금의 함양군에 내려가 주민들과 함께 팔을 걷어붙이고 해마다 범람하는 강줄기를 바로잡고 지리산에서 캐온 나무를 심어 대관림(현재 상림숲)이라고 하는 인공조림장을 조성하였습니다. 천 년이 넘은 지금도 현지에 가면 상림이라고 하는 이름으로 그 숲이 보존되어 있습니다. 그는 행동하는 지성이었으며 미래를 향해 끊임없이 자신을 절차탁마切磋琢磨하였던 학자이며 또한 끈기 있게 창의와 개혁을 주장한 실천가였습니다. (16p)

 

“저 흑구렁이는 뭐야? 탑신에 숨어 있다가 벼락을 맞은 거 아니야? 아이고 징그러워!” 여인들의 소란스러움이 점점 커지더니 이내 웅성웅성 여기저기서 수군거리기 시작하였다. 이를 지켜 본 상좌승이 헛기침을 두어 번 하고 신도들 앞으로 나아갔다. 이윽고 상좌승의 기세에 눌린 신도들은 아무 말도 못하고 가녀린 숨소리만 뱉어 낼 따름이었다. “신도 여러분, 오늘 보신 일에 대해서 말씀을 삼가해 주세요. 궂은 날 벼락이 치는 것은 자연의 이치이고 이 또한 부처님의 뜻이기도 합니다. 벼락 소리에 놀란 구렁이가 잠시 혼절했을 것입니다. 별일 아니니까, 이제 다들 돌아가세요.” (34p)

 

고산 훈장은 이런 치원을 바라보며 매우 흐뭇해했다. 치원이 살짝 몸서리를 치며 술잔을 모두 비우고 나서 다시 잔을 훈장님께 드리자 술잔을 받아든 훈장님은 치원의 얼굴을 보며 천천히 말했다.

 

“네 아버지에게는 다 말해 두었다만 당나라에 가서 공부하는 게 좋겠다. 당나라에 지금 네 나이에 가는 것이 왜 좋은지 아느냐? 당나라 최고 교육기관인 국자감은 열네 살이면 들어갈 수가 있어. 지금 네가 열두 살이니까 가서 한 2년 정도 그 나라 말을 더욱더 익히며 공부를 한 뒤, 열네 살에 시험을 쳐서 들어갈 수 있다. 하지만 국자감 시험이 그리 만만치 않단다. 삼사三史, 오경五經, 제자백가諸子百家를 통달해야 겨우 합격을 기대해 볼 수가 있다. 그러니 미리미리 준비를 해야 할 것이야. 그리고 시험관 앞에서 구두시험을 통과하려면 당나라 말도 유창하게 익혀야 한단다...”(46p)                   

▲ ‘최치원 깨달음의 시작’을 이미지(형상)화시킨 임지호 화백 그림(소설 최치원 제1권 113p)


“여름이 지나기 전에 떠나도록 해. 우리 6두품은 당나라 유학을 다녀오지 않으면 달리 방도가 없어. 진골 발뒤꿈치라도 잡고 뛰려면 당나라 유학을 다녀와야 해.” 견일은 몇 올 남지 않은 수염을 매만지며 연신 헛기침을 해댔다. “그런데 현준대사, 저렇게 어린 나이에 유학을 떠났다가 당나라가 좋아 아주 거기 눌러 앉거나 당나라 처자를 얻어 아주 서화자西化者(당의 국적을 얻어 눌러 앉는 사람들)가 되면 어찌할꼬?”

 

반야 부인의 억지스러움에 현준스님은 그저 웃음으로 화답할 수밖에 없었다. “어머님도 참, 어머님을 저리도 따르는 치원이가 서화자가 되겠습니까? 어머님 뵙고 싶어서라도 동귀자東歸者(본국으로 돌아오는 사람)가 될 겁니다. 그 점은 염려 놓으세요.” 그제야 반야 부인은 조금 안심하는 눈치였다. 가만히 누워서 이 이야기를 듣던 치원은 공연히 서러운 생각이 들며 눈가에 눈물이 맺혔다. 손등으로 눈가에 흐르는 눈물을 훔치며 속으로 외쳤다. (81p)

 

막 서른 살이 된 최견일이 반야 부인을 만나게 된 인연은 부여의 고란사 불사 일을 하면서 알게 되었다. 따스한 봄의 햇살이 눈이 부시도록 빛을 내고, 백마강에서 불어오는 서늘한 강바람이 뭇 사내와 처자들의 가슴을 설레게 했다. 오전 내내 잠시라도 쉬지 않고 일을 하느라 온몸이 땀으로 뒤덮인 견일이 허기를 달래기 위해 점심밥을 먹고 있었다. 그때 요사채의 부엌에서 한 여인이 나와 다른 여인들을 지휘하고 있는 모습이 견일의 시야에 가득 들어왔다. (132p)

 

치원에게 이렇게 말하고 아버지는 홀연히 사라졌다. 깨어보니 꿈에서 아버지가 하신 말씀이 현실처럼 머릿속에 계속 남아 있었다. 나라와 백성을 사랑하고 이롭게 할 수 있는 학문은 무엇인가를 찾기 위해 국자감 도서실에 가서 공자 맹자의 인의예지 사상, 노자 장자의 자연 도리에 복종하는 도덕의 무위사상, 한비자의 법치주의 사상, 중국 옛 선현들이 남겨놓은 사상과 학문뿐만 아니라 서역학자들이 주장한 학문 서적까지 모두 공부하였다. 공부는 스스로 깨우쳐야 된다. 내가 주인공이 되어 중심의 자리에서 어느 곳에도 치우치지 아니하고 상대방을 바로 보고 바로 듣고 바로 믿어야 되는 것을 내 스스로 알아야 된다. 상대방이 잘못되고 틀린 것이 있더라도 틀린 것과 잘못된 원인을 찾아내는 것을 알아내는 것이 공부이다. (185p)

 

그날 밤, 치원은 모처럼 시원한 샘물로 몸을 씻으며 묵은 상념까지 모조리 털어내고 돌아왔다. 그리고는 오랜만에 현준스님과 찻상에 마주 앉아 향기로운 차를 마시며 그 향기에 흠뻑 젖어들며 그간의 이야기를 정겹게 풀어내고 있었다. 그때 밖에서 웬 인기척이 나는가 싶더니 잠시 후 뜻밖에도 최승우가 방문을 열며 들어섰다. 그의 입에서는 술 냄새가 진동하고 있었다. “오랜만입니다. 동에 번쩍 서에 번쩍하시는군요! 종남산에서 몇 년 전에 뵙고 서라벌에서도 먼발치로 만났었죠?” 현준스님이 일어서며 최승우를 반갑게 맞이했다. “그랬었나요? 이 사람은 취생몽사하는 사람이라 기억력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242p)

 

“장원 급제를 하셨으면 그대로 벼슬길로 나가시지 뭣 하러 이 깊은 산속까지 들어오셨나? 이거 원 황송해서 몸 둘 바를 모르겠군. 아이고, 진사 어르신 풍채가 훤하십니다.” 선사는 여전히 히죽히죽 웃으며 여유 있게 농을 던졌다. 그 모습을 지켜보던 치원이 먼저 앞으로 나서며 삼배를 올렸다. 현준스님과 호몽도 그 뒤에서 역시 삼배를 올렸다. (286p)

 

최치원 진사 계십니까? 최치원 진사님, 어디 계세요?” 무척이나 다급한 목소리였다. “여기 있소. 뉘시오?” 치원이 사내 쪽을 향해 소리를 질렀다. 치원의 목소리를 들은 사내가 말에서 내려 급하게 뛰어오는 모습이 보였다. “아, 잘 찾아왔군요. 예부에서 나왔습니다. 최치원 진사님의 발령장을 가지고 왔습니다. 어쩌면 이렇게 깊은 산중에 계십니까?” 사내는 숨을 몰아쉬며 치원에게 발령장을 전했다. 치원은 짙은 어둠 속에서 호몽이 들고 있는 횃불에 의지한 채 사내가 주고 간 발령장을 펼쳐 들었다. (300p)  (계속)

 

지은이 최진호는 경남 함양에서 태어나 동국대학교 경영대학원을 수료했다. 총무처 기획예산담당, 국세청 기획예산담당, 서울지방국세청 조사관리과 서기관, 국세청 인사계장 등을 지냈다. 현재는 탑코리아세무법인 대표이사 회장, 불교아카데미 이사, 한국세무사회 이사 등을 맡고 있으며, '우리말 불교경전'을 펴낸 바 있다. 변화는 많지만 하나로 꿰어 있고 무게가 무겁지만 가라앉지 않은(萬變一貫多重而不沈) 최치원에 대한 장편소설을 집필하게 되었다.

 

최치원의 사람 사랑과 나라 사랑을 널리 알리기 위한 일념(一念) 하나로 작가는 지난 30년 동안 유적지를 답사하고 연구한 자료를 가지고 많은 사람들에게 알리기 위해 소설화 작업을 해 책으로 펴냈다. 

 

최진호 장편소설 '최치원' 1권 성인과의 만남(300p). 2권 통찰의 지혜(296p). 3권 꿈꾸는 별(324p). 4권 하늘의 비밀(332p). 5권 눈으로 볼 수 없는 세계(348p) / 도서출판 집사재 / 신국판(152×225) / 1쇄 발행일 2021년 02월 10일

 

문화저널21 최병국 기자

먼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주세요.

창닫기확인